프레일링

프레일링(Frailing)은 인간관계의 효과적인 기법이며, 트랜서핑의 필수적인 일부분이다. 프레일링의 주된 원칙은 다음과 같이 공식화할 수 있다. 받고자 하는 의도를 거부하고 그것을 주고자 하는 의도로 바꾸면, 당신은 스스로 사양했던 그것을 얻는다.

당신의 외부 의도는 상대방에게 피해를 주지 않고 그의 내부 의도를 사용한다는 것이 이 원칙의 원리이다. 결과적으로 당신은 내부 의도가 쓰는 기존의 방법으로 얻을 수 없었던 것을 그 사람한테서 얻게 되는 것이다. 이 원칙을 따르면 당신은 개인적인 인간 관계나 사업 관계에서 놀라운 결과를 얻을 수 있다

Similar Posts

  • 세계의 층

    각각의 유기체는 사념 에너지로써 가능태 공간의 특정 섹터를 실현시켜서 자기 세계의 층을 창조해낸다. 이 모든 세계의 층들이 서로 겹쳐서 하나를 이루므로, 각 유기체는 현실의 형성에 자기 몫의 기여를 하고 있는 것이다. 사람은 자신의 세계관으로써 개인적인 세계의 층을 형성하는데, 그것은 독립된 별개의 현실이다. 이 현실은 그 사람의 태도에 따라 고유한 뉘앙스를 가지게 된다. 비유적으로 표현하자면, 그곳에는…

  • 트랜서핑

    ‘트랜서핑’이라는 용어는 이 책의 저자인 바딤 젤란드가 직접 만들어낸 단어가 아닙니다. 이 책의 모든 개념과 내용들과 함께 어딘가로부터 자연스럽게 전해받은 것입니다. 처음에는 그 역시 이 단어의 정확한 의미를 파악하기 어려웠고, 어떤 이미지로 받아들여야 할지 막막하기도 했습니다. 이 용어는 ‘가능성의 공간을 자유롭게 이동하기’, ‘잠재된 가능성을 현실로 구현하기’, 혹은 ‘인생의 다양한 경로를 넘나들기’ 정도로 이해하실 수 있을…

  • 인생트랙

    인간의 삶은 여타 물질의 움직임과 마찬가지로, 원인과 결과의 사슬에 지나지 않는다. 가능태 공간에서 결과는 항상 원인에 가까이 배치되어 있다. 원인 다음에는 곧 결과가 따라 나오는 것처럼, 가능태 공간의 가까운 섹터들이 인생트랙에 차례대로 나란히 정렬한다. 동일한 인생트랙의 시나리오와 무대 장치는 그 성격들이 비슷하다. 시나리오와 무대 장치를 본질적으로 변화시키는 사건이 일어날 때까지 한 사람의 인생은 하나의 트랙을…

  • 가능태 공간

    가능태 공간은 정보체(Informational Structure)이다. 그것은 일어날 수 있는 모든 사건의 다양한 가능태들이 들어 있는 무한한 정보장이다. 가능태 공간에는 과거에 존재했고 지금 존재하고 앞으로 존재할 모든 것이 들어 있다. 가능태 공간은 시간과 공간 속을 움직이는 물질의 형판, 혹은 좌표 시스템의 역할을 한다. 영화 필름에서 처럼 과거와 미래는 영구적으로 보존되어 있으며, 현재를 보여주는 프레임들의 연속적인 전환에 의해서만…

  • 의존적 관계

    의존적 관계는 “당신이 ~를 해주면 나는 ~를 해주겠다.”는 식의 조건으로 정의된다. 이와 유사한 예를 많이 찾아볼 수 있다. “나를 사랑한다면 모든 것을 버리고 나와 함께 세상 끝까지 가야 해.”, “나와 결혼하지 않겠다는 건 나를 사랑하지 않는다는 거야.”, “나를 칭찬해 주면 너의 친구가 되어줄게.”, “너의 장난감 삽을 내게 주지 않으면 이 모래 상자에서 못 놀게 할…

  • 의도

    의도는 대략, ‘가지겠다는, 그리고 행동하겠다는 결정’이라고 정의할수 있다. 실현되는 것은 욕망이 아니라 의도다. 팔을 들어 올리기를 소원해보라. 당신의 생각 속에 욕망이 형성되었다. 곧, 당신은 팔을 올리고 싶어 한다는 사실을 의식한다. 하지만 욕망이 팔을 들어올려 주는가? 아니다. 욕망 그 자체는 어떤 행동도 만들어내지 못한다. 팔을 들고 싶다는 행동이 처리되어 행동하겠노라는 결정이 남게 되었을 때 팔을 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