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택

트랜서핑은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새로운 원칙과 방법을 제시한다. 어떻게 목표를 달성할지를 걱정하지 않고 마치 식당에서 음식을 주문하는 것처럼 그저 선택하는 것이다. 그 결과는 목표가 주문자의 직접적인 행동과는 무관하게 스스로 실현되는 것이다. 당신의 희망은 이루어지지 않고, 꿈은 실현되지 않을 것이다. 하지만 당신의 선택은 불변의 법칙이며 그것은 필연적으로 실현될 것이다. 선택의 본질을 한두마디로 설명하기는 어렵다. 트랜서핑은 선택이란 무엇인지, 그러한 선택을 어떻게 해야하는지에 대해 이야기할 뿐이다.

Similar Posts

  • 가능태 공간

    가능태 공간은 정보체(Informational Structure)이다. 그것은 일어날 수 있는 모든 사건의 다양한 가능태들이 들어 있는 무한한 정보장이다. 가능태 공간에는 과거에 존재했고 지금 존재하고 앞으로 존재할 모든 것이 들어 있다. 가능태 공간은 시간과 공간 속을 움직이는 물질의 형판, 혹은 좌표 시스템의 역할을 한다. 영화 필름에서 처럼 과거와 미래는 영구적으로 보존되어 있으며, 현재를 보여주는 프레임들의 연속적인 전환에 의해서만…

  • 세계의 층

    각각의 유기체는 사념 에너지로써 가능태 공간의 특정 섹터를 실현시켜서 자기 세계의 층을 창조해낸다. 이 모든 세계의 층들이 서로 겹쳐서 하나를 이루므로, 각 유기체는 현실의 형성에 자기 몫의 기여를 하고 있는 것이다. 사람은 자신의 세계관으로써 개인적인 세계의 층을 형성하는데, 그것은 독립된 별개의 현실이다. 이 현실은 그 사람의 태도에 따라 고유한 뉘앙스를 가지게 된다. 비유적으로 표현하자면, 그곳에는…

  • 영혼과 마음의 일치

    마음은 의지를 가지고 있지만 외부의도를 조종할 수는 없다. 영혼은 외부의도와 일체감을 느낄 수 있지만 의지를 가지고 있지 않다. 영혼은 가능태 공간 속을 조종이 불가능한 연처럼 날아다닌다. 외부의도를 의지에 복종 시키려면 영혼과 마음의 일치를 이루어야 한다. 이것은 영혼의 느낌과 마음의 생각이 하나로 합쳐지는 상태다. 예를 들면 사람이 기쁜 영감으로 가득차 있을 때 그의 영혼은 ‘노래를 부르고’…

  • 물질적 실현

    가능태 공간의 정보체는 특정한 조건이 갖춰지면 물질화된다. 가능태 공간의 각 섹터처럼 모든 사념은 일정한 매개변수를 가지고 있다. 방사되는 사념은 거기에 상응하는 해당 섹터를 ‘조명’하여 그 가능태를 실현시킨다. 따라서 사념은 사건의 전개 과정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것이다. 가능태 공간은 형틀의 역할을 하여 물질의 형태와 운동 궤적을 결정한다. 물질적 실현 양태는 시간과 공간에서 변천하지만 가능태들은 그 자리에…

  • 가능태 흐름

    정보는 가능태 공간 속에서 매트릭스의 형태로 정적으로 보존되어 있다. 정보의 구조는 서로 서로 연결된 사슬로 이루어져 있다. 원인-결과의 관계는 가능태 흐름을 생성한다. 불안한 마음은 펜듈럼의 흔들림을 끊임없이 느끼고, 상황을 완벽하게 통제하기 위해 모든 문제를 혼자서 해결하려고 애쓴다. 마음의 인위적인 결정은 대부분의 경우 물살을 거슬러 허우적대는 것과 같이 무의미한 것이다. 대부분의 문제, 특히 작은 문제들은 가능태…

  • 프레일링

    프레일링(Frailing)은 인간관계의 효과적인 기법이며, 트랜서핑의 필수적인 일부분이다. 프레일링의 주된 원칙은 다음과 같이 공식화할 수 있다. 받고자 하는 의도를 거부하고 그것을 주고자 하는 의도로 바꾸면, 당신은 스스로 사양했던 그것을 얻는다. 당신의 외부 의도는 상대방에게 피해를 주지 않고 그의 내부 의도를 사용한다는 것이 이 원칙의 원리이다. 결과적으로 당신은 내부 의도가 쓰는 기존의 방법으로 얻을 수 없었던 것을…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