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존적 관계

의존적 관계는 “당신이 ~를 해주면 나는 ~를 해주겠다.”는 식의 조건으로 정의된다. 이와 유사한 예를 많이 찾아볼 수 있다. “나를 사랑한다면 모든 것을 버리고 나와 함께 세상 끝까지 가야 해.”, “나와 결혼하지 않겠다는 건 나를 사랑하지 않는다는 거야.”, “나를 칭찬해 주면 너의 친구가 되어줄게.”, “너의 장난감 삽을 내게 주지 않으면 이 모래 상자에서 못 놀게 할 거야.” 등등. 사랑이 의존적 관계로 변하면 균형이 깨지면서 양극화가 생겨난다. 조건없는 사랑이란, 소유나 숭배를 바라지 않는 찬탄이다. 달리 말하면 무조건적 사랑은 사랑하는 사람과 사랑받는 사람 간에 의존적 관계를 형성하지 않는다.

뭔가가 다른 것과 대비되고 비교될 때에도 균형이 깨진다. “우리는 이렇게 하는데, 저 사람들은 방식이 다르군!” 자기 나라에 대한 자부심이 그 예다. 자기 나라와 다른 나라를 비교하는것이다. 열등감도 그렇다. 자신과 다른 누군가를 비교하는 것이다.

어떤 것이 다른 것과 비교, 대비되기 시작하면 어김없이 균형력이 나서서 그 포텐셜을 제거하기 시작한다. 그 포텐셜이 긍적적이든 부정적이든 상관없다. 그리고 포텐셜을 만들어 낸 사람은 바로 당신이기 때문에 균형력은 무엇보다도 당신을 겨냥하여 작용할 것이다. 그 작용은 서로 반대되는 부분들을 떼어 놓거나, 아니면 쌍방 합의에 이르게 하거나 서로 부딪히게 해서 하나로 합쳐지는 쪽을 지향한다.

Similar Posts

  • 생명력

    트랜서핑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건강한 몸과 충분한 생명력이 필요하다. 잉여 포텐셜의 짐을 벗어던지고 펜듈럼으로부터 자유로워지면서, 당신은 이전에 쓸모없이 낭비했던 에너지를 상당히 회수했다. 하지만 에너지는 아무리 많아도 지나치지 않다… 인체 내의 에너지는 두 가지 형태로 구별할 수 있다. 생리적 에너지와 자유 에너지(Free energy)가 그것이다. 생리적 에너지는 음식물을 소화시켜서 얻는다. 자유 에너지는 인체를 통해 흐르는 우주의 에너지(Space…

  • 인생트랙

    인간의 삶은 여타 물질의 움직임과 마찬가지로, 원인과 결과의 사슬에 지나지 않는다. 가능태 공간에서 결과는 항상 원인에 가까이 배치되어 있다. 원인 다음에는 곧 결과가 따라 나오는 것처럼, 가능태 공간의 가까운 섹터들이 인생트랙에 차례대로 나란히 정렬한다. 동일한 인생트랙의 시나리오와 무대 장치는 그 성격들이 비슷하다. 시나리오와 무대 장치를 본질적으로 변화시키는 사건이 일어날 때까지 한 사람의 인생은 하나의 트랙을…

  • 의도의 조율

    부정적인 경향을 지닌 사람들이 가장 두려워하는 일들이 실제로 일어나는 것을 살펴보면 누구나 사건의 진행 과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이 입증된다. 가능태 공간에서 인생트랙의 모든 사건은 두 개의 갈래를 가지고 있다. 한 갈래는 바람직한 쪽을, 다른 갈래는 바람직하지 않은 쪽을 향해 있다. 어떤 사건을 맞이할 때마다 당신은 그것을 어떻게 볼 것인가를 선택한다. 그 사건을 긍정적인…

  • 가능태 공간의 섹터

    가능태 공간의 각각의 지점마다 어떤 특정 사건의 가능태가 존재한다. 쉽게 이해하기 위해서, 가능태는 시나리오와 무대장치로 구성되어 있다고 생각하자. 무대장치는 현실화가 일어나는 외적인 모습과 형태이고, 시나리오는 물질이 이동하는 경로이다. 편의상 가능태 공간을 섹터로 나눌 수 있다. 각 섹터는 자신만의 시나리오와 무대장치를 지니고 있다. 섹터 간의 거리가 멀면 멀수록 시나리오와 무대장치의 차이가 커진다. 사람의 운명은 많은 가능태들로…

  • 영혼과 마음의 일치

    마음은 의지를 가지고 있지만 외부의도를 조종할 수는 없다. 영혼은 외부의도와 일체감을 느낄 수 있지만 의지를 가지고 있지 않다. 영혼은 가능태 공간 속을 조종이 불가능한 연처럼 날아다닌다. 외부의도를 의지에 복종 시키려면 영혼과 마음의 일치를 이루어야 한다. 이것은 영혼의 느낌과 마음의 생각이 하나로 합쳐지는 상태다. 예를 들면 사람이 기쁜 영감으로 가득차 있을 때 그의 영혼은 ‘노래를 부르고’…

  • 연결점 (Assemblage point)

    카를로스 카스타네다의 책 <The Fire from Within>에 나오는 개념. 카스타네다에 따르면, 인간의 몸은 빛나는 알 모양의 에너지 거품으로 둘러 싸여 있는데, 그 알 표면에는 어셈블리지 포인트라는 것이 있어서 거기에서 외부와 내부의 에너지 방사를 연결한다. 우리는 그 지점을 통해서 외부의 현실을 인식한다. 이 포인트를 이동시키면 현실 인식점이 변화되므로 다른 차원을 경험할 수 있다. 지구 상에 존재하는…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