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결점 (Assemblage point)

카를로스 카스타네다의 책 <The Fire from Within>에 나오는 개념. 카스타네다에 따르면, 인간의 몸은 빛나는 알 모양의 에너지 거품으로 둘러 싸여 있는데, 그 알 표면에는 어셈블리지 포인트라는 것이 있어서 거기에서 외부와 내부의 에너지 방사를 연결한다. 우리는 그 지점을 통해서 외부의 현실을 인식한다. 이 포인트를 이동시키면 현실 인식점이 변화되므로 다른 차원을 경험할 수 있다. 지구 상에 존재하는 모든 존재들은 이 포인트가 연결되어 있어서 서로 같은 현실을 공유할 수 있는 것이다. 보통 동그란 원으로 이루어져 있는 이 포인트의 모양을 타원형으로 변형하여 길게 폭을 넓히면 다른 차원에 접속해서 그 차원의 존재와 차원을 공유하게 된다고 한다. 어셈블리지 포인트는 일반적으로 알의 4분의 3 높이의 위치에 존재하며 의도의 힘으로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객관적인 현실은 없으며, 우리는 각각 자신의 포인트가 어떤 에너지 방사선들과 연결하여 정렬하는가에 따라 조금씩 다른 세상을 경험한다. 그런 의미에서 이 개념은 트랜서핑의 원리와도 통한다고 하겠다.

Similar Posts

  • 잉여 포텐셜

    잉여 포텐셜은 균일한 에너지장 속에서 일어나는 긴장, 국소적인 교란이다. 이런 불균형은 어떤 대상에다 지나친 중요성을 부여할 때 사념 에너지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소망은 원하는 대상을 그것이 없는 곳으로 끌어당겨 오려고 애쓰는 것이기 때문에 잉여 포텐셜이다. 가지고 있지 않은 것을 가지려 하는 힘겨운 욕망이 에너지적인 ‘기압차’를 형성해서 균형력의 바람을 일으킨다. 잉여 포텐셜의 다른 예는…

  • 프레일링

    프레일링(Frailing)은 인간관계의 효과적인 기법이며, 트랜서핑의 필수적인 일부분이다. 프레일링의 주된 원칙은 다음과 같이 공식화할 수 있다. 받고자 하는 의도를 거부하고 그것을 주고자 하는 의도로 바꾸면, 당신은 스스로 사양했던 그것을 얻는다. 당신의 외부 의도는 상대방에게 피해를 주지 않고 그의 내부 의도를 사용한다는 것이 이 원칙의 원리이다. 결과적으로 당신은 내부 의도가 쓰는 기존의 방법으로 얻을 수 없었던 것을…

  • 트랜서핑

    ‘트랜서핑’이라는 용어는 이 책의 저자인 바딤 젤란드가 직접 만들어낸 단어가 아닙니다. 이 책의 모든 개념과 내용들과 함께 어딘가로부터 자연스럽게 전해받은 것입니다. 처음에는 그 역시 이 단어의 정확한 의미를 파악하기 어려웠고, 어떤 이미지로 받아들여야 할지 막막하기도 했습니다. 이 용어는 ‘가능성의 공간을 자유롭게 이동하기’, ‘잠재된 가능성을 현실로 구현하기’, 혹은 ‘인생의 다양한 경로를 넘나들기’ 정도로 이해하실 수 있을…

  • 중요성의 조율

    중요성의 조율 그 어떤 것에도 중요한 의미를 부여하지 말라. 당신의 중요성은 당신이 아니라 펜듈럼에게나 필요한 것이다. 펜듈럼들은 중요성의 줄로 사람들을 매달아 꼭두각시 인형처럼 갖고 논다. 사람은 중요성의 줄을 놓기를 겁낸다. 왜냐하면 그는 자신감과 지지받는 느낌이라는 환영을 만들어내는 ‘의존의 주술’에 사로 잡혀 있기 때문이다. 자신감은 극성만 반대인 불안의 잉여 포텐셜이다. 깨어 있는 의식과 의도를 지니고 있으면…

  • 가능태 공간

    가능태 공간은 정보체(Informational Structure)이다. 그것은 일어날 수 있는 모든 사건의 다양한 가능태들이 들어 있는 무한한 정보장이다. 가능태 공간에는 과거에 존재했고 지금 존재하고 앞으로 존재할 모든 것이 들어 있다. 가능태 공간은 시간과 공간 속을 움직이는 물질의 형판, 혹은 좌표 시스템의 역할을 한다. 영화 필름에서 처럼 과거와 미래는 영구적으로 보존되어 있으며, 현재를 보여주는 프레임들의 연속적인 전환에 의해서만…

  • 의도

    의도는 대략, ‘가지겠다는, 그리고 행동하겠다는 결정’이라고 정의할수 있다. 실현되는 것은 욕망이 아니라 의도다. 팔을 들어 올리기를 소원해보라. 당신의 생각 속에 욕망이 형성되었다. 곧, 당신은 팔을 올리고 싶어 한다는 사실을 의식한다. 하지만 욕망이 팔을 들어올려 주는가? 아니다. 욕망 그 자체는 어떤 행동도 만들어내지 못한다. 팔을 들고 싶다는 행동이 처리되어 행동하겠노라는 결정이 남게 되었을 때 팔을 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