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능력 연구의 금기와 과학적 증거 – Dean Radin

텔레파시, 예지력 및 기타 ‘psi’ 능력은 존재할까요? 일반 대중의 대부분은 이러한 능력이 존재한다고 믿지만, 주류 학술 기관 중 이러한 자주 보고되는 경험에 관심을 보이는 교수진이 있는 곳은 1% 미만입니다. 왜 이처럼 지속적이고 광범위한 관심을 받는 주제가 학계에서 이렇게도 침묵으로 일관되는 것일까요? 그 이유는 과학적 증거의 부족이나 과학적 관심의 부족 때문이 아니라, 오히려 금기 때문입니다. 저는 이 금기의 본질, 일부 경험적 증거와 비판적 반응을 논의하고, 그 함의를 추론해 보겠습니다.

딘 라딘(Dean Radin)
초심리학 분야 연구자이자 저술가입니다. 그는 노에틱 과학 연구소(Institute of Noetic Sciences)의 선임 연구원이며, 초심리학 협회(Parapsychological Association)의 전 회장직을 네 차례 역임했습니다. 매사추세츠 아머스트 대학교에서 전기공학 학사 학위를, 일리노이 대학교 어바나-샴페인 캠퍼스에서 전기공학 석사 학위와 교육 심리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습니다. 그는 AT&T 벨 연구소와 GTE 연구소에서 고급 통신 제품 및 서비스의 인간 요인에 대한 연구를 주로 수행했으며, 프린스턴 대학교, 에든버러 대학교, 네바다 대학교 라스베이거스 캠퍼스, SRI 인터내셔널, 인터벌 리서치 코퍼레이션, 경계 연구소에서 근무했습니다. 이 기관들에서 그는 예외적인 인간 능력에 대한 기초 연구에 참여했습니다.

제시된 유튜브 영상은 선임 과학자 딘 레이딘의 강연을 담고 있으며, 염력, 텔레파시, 예지, 투시와 같은 심령 현상(psi)에 대한 과학적 연구를 다룬다. 레이딘은 이러한 현상들이 종종 미신으로 치부되지만, 오랜 기간에 걸쳐 상당한 양의 실험적 증거가 축적되어 왔음을 강조한다. 그는 뇌 활동, 피부 전도도, 심박수 등을 측정하는 엄격한 실험 설계와 최신 기술(예: fMRI)을 사용한 연구 결과를 제시하며, 이는 일반적인 과학적 기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인다고 주장한다. 또한, 심령 현상 연구가 학계에서 겪는 “금기” 현상과 그로 인해 연구 결과가 제대로 보도되지 않거나 무시되는 경향을 지적하며, 서구 과학의 물질주의적 세계관이 이러한 현상들을 설명하기 어려운 이론적 한계를 가지고 있음을 제안한다.

PSI (Psychic Phenomena, 심령 현상)

브리핑 문서: 과학과 초심리학의 금기

1. 개요

딘 레이든(Dean Radin)은 초심리학 분야의 저명한 연구자이자 작가로, 노에틱 사이언스 연구소의 선임 과학자이자 초심리학 협회 회장을 네 차례 역임했다. 그는 프린스턴 대학교, 에든버러 대학교 등 유수의 기관에서 PSI 현상(텔레파시, 투시, 예지, 염력 등)과 같은 예외적인 인간 능력에 대한 기초 연구에 참여했다. 이 브리핑은 이러한 PSI 현상에 대한 과학적 연구의 현황, 그것이 직면한 ‘금기(taboo)’, 그리고 그것이 과학계와 세계관에 미치는 잠재적 영향에 대해 다룬다.

2. 핵심 주제 및 사실

2.1. PSI 현상의 존재 가능성:

  • 사례 증언: 딘 레이든은 아들이 총에 맞아 사망하는 순간 어머니가 이를 직감한 사례를 인용하며, 이러한 현상이 단순히 미신적인 것이 아니라 실제 경험으로 보고된다는 점을 강조한다. “내 아들이 ‘엄마 도와줘’라고 고통스럽게 부르는 소리를 들었다. 2월 10일이었다. 12일에 우리는 아들이 2월 10일 1시에 총에 맞아 사망했다는 전보를 받았다. 9시간의 시차가 있다. 그 일이 일어날 때 그가 나를 불렀고, 나는 그의 신음과 그의 죽음을 느꼈다.”
  • 대중문화의 확산: PSI 현상은 소설, TV 프로그램 등 대중문화 전반에 걸쳐 광범위하게 나타나며, 이는 이 주제가 대중에게 강렬한 매력을 가지고 있음을 시사한다.
  • 과학적 감독 패널의 결론: 냉전 시대에 이루어진 4건의 공개 및 다수의 비공개 연구 검토 결과, 모든 연구에서 “뭔가 흥미로운 일이 일어나고 있다”고 결론지었다. 특히 CIA를 위해 원격 조종 증거를 검토한 통계학 교수 제시카 우츠(Jessica Utz)는 “다른 어떤 과학 분야에도 적용되는 기준을 사용했을 때, 초능력 기능이 잘 확립되었다고 결론지었다”고 밝혔다.
  • 증거의 축적: 딘 레이든은 지난 130년간의 과학적 감독 위원회 및 검토 논문들을 통해 “점점 더 정교한 방법들이 사용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효과는 면밀한 조사 하에서도 사라지지 않았다”고 주장한다. FMRI 연구에서도 PSI 현상과 관련된 흥미로운 결과가 나타났다.

2.2. ‘금기(Taboo)’의 존재와 영향:

  • 학계의 외면: 초심리학 연구는 학계에서 “대부분 금기시된다(largely taboo in academia)”. 전 세계 17,500개의 고등 교육 기관 중 초심리학에 공개적으로 관심을 보이는 학자는 약 50명에 불과하며, 이는 전체 학계의 약 0.3%에 해당한다. 이는 대중의 높은 관심(90% 이상이 관심, 60% 이상이 믿음)과는 대조적이다.
  • 보고의 왜곡: 금기는 연구 조사의 본질을 제한하고 수용 가능한 아이디어를 제한한다. 특히 회의적인 언론인들 사이에서는 정확한 보고를 얻기가 매우 어렵다. 보스턴 글로브의 한 기사는 “두 명의 하버드 과학자가 ESP의 타당성을 영원히 해결하기 위해 나섰다”고 보도했으나, 이는 기능성 MRI를 사용한 첫 번째 연구가 아니었으며, 이전의 성공적인 4개의 연구는 언급되지 않았다. 해당 연구에서 의미 있는 결과를 보인 한 쌍의 데이터는 ‘오류’로 설명되었고, 해당 연구를 수행한 하버드 대학원생은 초심리학에 대한 관심을 포기했다. 이는 금기가 학문적 경력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보여준다.
  • 세계관의 충돌: 서양 과학은 물질주의적 일원론(mind=brain)에 기반하며 객관적 방법을 사용한다. 반면 PSI 현상은 ‘비국소성(non-locality)’과 같은 개념과 연결되며, 이는 동양 과학의 관점(mind≠brain, 에너지/정보 중심)과 더 잘 부합한다. 딘 레이든은 “서양 과학자로 훈련받으면, 이러한 현상을 보면 자신이 훈련받은 세계관 안에 도저히 맞출 수 없다고 생각한다”고 설명한다. 이러한 이론적 경계가 금기를 지속시킨다.

2.3. PSI 현상의 유형 및 실험적 증거: 딘 레이든은 PSI 현상을 정보 흐름의 세 가지 주요 방식으로 분류한다.

  • 텔레파시 (Telepathy): 마음과 마음 사이의 정보 흐름.
  • 간스펠트(Ganzfeld) 실험: 송신자와 수신자를 분리하고, 수신자를 감각 박탈 상태(붉은 조명, 핑퐁공으로 눈 가리기, 백색 소음)로 유도하여 꿈과 유사한 상태를 만든다. 송신자는 특정 대상을 생각하고, 수신자는 자신의 ‘생각’을 말한다. 이후 수신자는 4개의 대상 중 자신의 경험과 가장 일치하는 것을 고른다.
  • 누적 결과: 1920년대부터 현재까지 약 25개 연구실에서 진행된 3,000건 이상의 간스펠트 세션의 누적 적중률은 무작위(25%)보다 높은 약 32%를 기록했다. “무작위 확률은 29퀸틸리온 대 1이다.”
  • 특수 집단: 창의적인 사람들, 형제자매, 개방성이 높은 사람들, 이전에 텔레파시 경험이 있다고 보고한 사람들은 적중률이 65%까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 회피적 설명의 반박: 선택적 보고, 기록 오류, 무작위화 문제, 감각 누출 등 일반적인 회의적 설명은 데이터 분석 결과 설득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선택적 보고에 대한 검증은 누락된 데이터의 양을 추정하여 반박되었다.
  • 회의론자의 재현: 2005년 회의론적인 심리학자 두 명이 8개의 간스펠트 연구를 진행하여 평균 32%의 유의미한 적중률을 얻었으나, “인간이 초능력을 가지고 있음을 위험할 정도로 가깝게 증명한다”고 결론 내리는 대신, 다른 아드혹(ad hoc) 실험을 추가하여 부정적인 결과를 얻은 후 초능력의 부재를 주장했다. 이는 ‘금기’의 영향을 다시 한번 보여준다.
  • 뇌파 상관관계: 송신자와 수신자를 격리한 상태에서 송신자의 뇌에 시각 자극(섬광)을 주었을 때, 수신자의 뇌에서도 200밀리초 부근에서 유사한 활성화 피크가 관찰되었다. 이는 자율신경계 반응(피부 전도도)을 넘어 중추신경계 수준에서도 연결성이 나타남을 시사한다. 특히 30쌍의 명상가 커플을 대상으로 한 FMRI 연구에서는 원거리 송신자가 체크무늬 패턴을 볼 때 수신자의 시각 피질이 유의미하게 활성화되는 것이 관찰되었다.
  • 예지 (Precognition): 미래의 사건에 대한 무의식적인 감각이나 지각.
  • 컬러 파이 효과: 다니엘 데넷(Daniel Dennett)은 이 착시 현상이 뇌에 예지능력이 없다면 두 번째 지점이 인지된 후에야 착시 내용이 생성될 수 없다고 지적했다. 이는 뇌가 미래를 ‘역추론’하거나 ‘테이프 지연’을 사용한다는 설명으로 이어진다.
  • 선지(Presentiment) 실험: 참가자가 빈 화면 앞에 앉아 있는 동안 생리적 측정치(피부 전도도, 심박수, 뇌파, 동공 확장 등)를 기록한다. 컴퓨터는 무작위로 감정적이거나 차분한 그림을 선택하여 보여준다. 그림이 나타나기 전, 즉 그림이 선택되기 전부터 감정적인 그림에 대한 생리적 반응이 차분한 그림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 반복 가능성: 이러한 선지 실험은 독립적으로 여러 연구자(딕 비어만, 체스터 와일디, 에드 메이, 롤랜드 맥크레이디 등)에 의해 재현되었으며, 19개의 연구 중 10개가 유의미한 결과를 보였다.
  • 뇌 활동에서의 선지: FMRI 연구에서도 감정적인 그림이 나타나기 전 시각 피질에서 유의미한 활성화가 관찰되었다. 이는 무의식적인 수준에서 미래 정보에 대한 뇌의 반응을 시사한다.
  • 성별 차이: 일부 연구에서는 여성들이 감정적/폭력적인 그림에 대해 더 유의미한 선지 반응을 보였으며, 남성은 선정적인 그림에 대해서만 유의미한 반응을 보였다.
  • 염력 (Psychokinesis/Mind-Matter Interaction): 마음이 환경에 영향을 미치는 능력.
  • 딘 레이든은 “이러한 종류의 현상은 무작위 사건, 금속의 속성, 박테리아, 식물, 동물 건강, 동물 행동, 인간의 의도, 인간 건강, 인간 생리, 물, 음식, 그리고 광자에 이르기까지 매우 자세히 조사되었다”고 언급한다.
  • 최근 연구에서는 이중 슬릿 실험과 유사한 조건에서 사람들이 직관적인 지식을 사용하여 광자의 경로 정보를 얻으려고 시도했을 때, 간섭 패턴에 유의미한 변화가 나타났다고 보고한다.

2.4. ‘비범한 주장에는 비범한 증거가 필요하다’에 대한 반론:

  • 경험적 증거의 비범성: PSI 경험은 문화, 역사, 교육 수준을 막론하고 널리 퍼져 있으며, 익명 설문 조사에서는 대학 교수들의 PSI 현상에 대한 믿음이 일반 대중과 비슷하다. 반복 가능하고 수렴적인 증거가 장기간에 걸쳐 나타나고 있으므로 경험적 증거 측면에서 PSI 현상이 비범하다고 할 수 없다.
  • 이론적/존재론적 비범성: 현재 서양 과학 이론의 관점에서는 비범해 보일 수 있지만, 기존 이론이 ‘완전하지 않다면’ 새로운 발견의 가능성은 열려 있다. 특히 양자 물리학의 비국소성(non-locality) 개념은 PSI 현상이 발생할 수 있는 ‘허용 가능한’ 방향을 제시한다. 비국소성은 공간뿐만 아니라 시간에도 적용된다.
  • 일상성: 딘 레이든은 PSI 현상이 실제로는 상당히 ‘평범하다’고 주장한다. 80~90%의 사례는 일반적인 인지 편향이나 우연으로 설명될 수 있지만, 100%를 설명할 수는 없다. 제시카 우츠의 결론처럼 “다른 어떤 과학 분야에도 적용되는 기준을 사용했을 때, 초능력 기능이 잘 확립되었다.”

2.5. 연구의 중요성과 함의:

  • 지적 호기심: 딘 레이든은 25년간 이 연구에 몰두한 개인적인 이유로 “흥미롭고, 매우 궁금하다”는 점을 꼽는다.
  • 과학에 대한 대중의 관심 증진: 대중의 90%가 관심을 갖는 현상을 과학계가 외면하는 것은 대중이 과학에 등을 돌리게 하는 원인이 될 수 있다. 경험적으로 검증 가능한 현상들이 단순히 ‘이상한 것’으로 치부되는 것은 부당하다.
  • 인간 존재에 대한 이해 확장: 텔레파시가 사실이라면, 개인의 ‘사적인 생각’은 더 이상 사적이지 않으며, 마음은 뇌에 국한되지 않고 공간과 시간에 걸쳐 퍼져 있을 수 있다. 이는 우리의 ‘개인적인 존재론’에 극적인 변화를 가져온다.
  • 세계관의 도전: PSI 현상은 “마음이 뇌이며, 완전히 무의미한 존재”라는 기계론적 세계관에 도전한다. 딘 레이든은 신경과학이 ‘정확하지만 완전하지 않다’고 주장하며, PSI 현상이 우리가 ‘신경 다발 그 이상’임을 시사하는 ‘잃어버린 부분’일 수 있다고 제안한다.
  • 과학 발전의 원동력: 과학사에서 ‘변칙 현상(anomalies)’은 새로운 이론의 출현을 촉발하고, 일단 이론이 정립되면 과거의 논쟁은 잊혀진다. PSI 현상에 대한 연구는 새로운 과학적 프레임워크와 세계관의 확장을 통해 현재의 ‘변칙’을 설명할 수 있게 할 것이다.

3. 논쟁과 반박 (Q&A 요약)

  • 실험 재현성 및 제임스 랜디 백만 달러 상: 실험들은 재현 가능하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보여준다. 하지만 제임스 랜디 상과 같은 ‘단 한 번의 성공’을 위한 실험은 막대한 시간과 비용(4~8년, 100만 달러 이상)이 필요하며, 기존의 메타 분석은 수십 년간의 누적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다. 통계적 유의성(p<0.05)과 1억 대 1의 확률을 보장하는 것은 다른 문제이다.
  • 엔탱글먼트(얽힘) 감소: 뇌 간의 엔탱글먼트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감소할 수 있다는 주장에 대해 딘 레이든은 가까운 사람들과의 관계처럼 지속적인 재-엔탱글먼트가 일어날 수 있으며, 실제 경험에서도 가까운 관계에서 PSI 현상이 더 강하게 나타나는 경향이 있다고 설명했다.
  • 이론 부재: 비판자들은 PSI 연구에 예측 가능한 이론이 부족하다고 지적한다. 딘 레이든은 모든 과학이 ‘이상한 현상’을 관찰하는 것에서 시작하며, 이는 과학의 ‘선두’ 단계에 해당한다고 반박한다. 이론은 나중에 나타나며, 이론적 편견이 때로는 새로운 발견을 방해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 실험 방법론적 결함 및 편견: 간스펠트 실험에서 무작위화 문제, 감각 누출, 실험자-피험자 상호작용 등 방법론적 결함이 있을 수 있다는 비판에 대해 딘 레이든은 지난 130년간 이러한 문제들이 철저히 조사되고 해결되어 왔음을 강조한다. 송신자와 수신자 간의 물리적 격리(패러데이 케이지 등)와 철저한 사전 테스트를 통해 일반적인 설명은 배제되었다고 주장한다.
  • 상관관계 대 인과관계: 제시된 데이터가 상관관계에 불과하며 인과관계를 입증하지 못한다는 비판에 대해 딘 레이든은 대부분의 과학 실험이 상관관계를 보여주는 것이며, 실험 설계에 따라 인과관계를 추론할 수 있다고 인정한다. 그러나 PSI 현상의 경우 인과관계의 방향이 명확하지 않거나 순수한 상관관계 현상일 가능성도 있다고 덧붙인다.
  • 회귀 분석의 위험성: 과거 연구 결과들을 단순 합산하여 메타 분석하는 것이 방법론적 결함을 무시할 수 있다는 비판에 대해, 딘 레이든은 실험의 질이 결과와 역 상관관계에 있지 않다는 점(더 나은 실험이 더 나쁜 결과를 낳지 않는다는 점)을 들어 반박한다. 또한 회의론자들이 직접 실험하여 동일한 결과를 얻었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믿지 않는 경우가 많다고 지적한다.
  • 예지와 자유 의지: 예지 개념이 자유 의지를 침해한다는 우려에 대해 딘 레이든은 예지가 ‘잠재적 미래’에 대한 정보일 수 있으며, 다세계 가설과 같은 복잡한 이론을 통해 양립 가능하다고 제안한다. 또한 물리학의 기본 법칙은 시간 대칭적이며, 신경과학자들 중 상당수는 자유 의지가 환상이라고 믿는다고 언급한다. 딘 레이든은 자신은 경험주의자로서 결과가 무엇이든 받아들이고, 이를 기존 세계관에 통합하는 것은 더 스마트한 이론이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 난수 생성기: 사용된 난수 생성기가 ‘진정한’ 무작위성을 보장하는지에 대한 질문에 대해 딘 레이든은 제너 다이오드 노이즈 기반 또는 양자 광학 효과 기반의 고품질 난수 생성기(오리온, 제네바 대학의 생성기 등)를 사용하며, 이들이 철저한 테스트를 통과했다고 밝혔다. 개인 수준에서 시퀀스를 예측할 수 있다는 증거는 없었다.

4. 결론

딘 레이든의 브리핑은 PSI 현상에 대한 상당한 경험적 증거가 축적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서양 과학계의 특정 세계관과 뿌리 깊은 ‘금기’로 인해 이 분야가 주류 과학으로 인정받지 못하고 있음을 강력히 주장한다. 그는 이러한 금기가 과학적 탐구를 제한하고 대중의 과학에 대한 신뢰를 저해하며, 인간 존재와 현실에 대한 우리의 이해를 왜곡한다고 지적한다. PSI 현상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는 현재의 과학적 패러다임을 확장하고, 궁극적으로 인간 의식과 우주에 대한 우리의 이해를 심화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convert_to_text소스로 전환

Similar Posts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