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on’t Know Mind | 숭산스님

홍익학당의 명상법인 “몰라 괜찮아” 는 숭산스님의 Don’t Know Mind와 궤를 같이 하고 있다. 조금 더 파보기 위해 Ai 에게 물었더니 다음과 같이 잘 정리를 해주었다. 서툰 영어로 미국 등 해외 포교를 하셨는데,

숭산 스님(Seung Sahn Seon Sa Nim, 1927~2004)이 평생 강조하신 핵심 가르침 중 하나가 바로 **”Don’t Know Mind”**입니다. 한국 선불교의 정수를 아주 쉽게 풀어낸 표현인데, 그 의미를 명확하게 짚어드릴게요.

숭산스님

📌 Don’t Know Mind란?

**말 그대로 ‘모른다 마음’**입니다.
어설프게 아는 척하지 않고, 머릿속 개념이나 분별로 사물과 상황을 판단하려 하지 않는 상태.
온전히 열린, 비어 있는, 조건 없이 현재 순간을 있는 그대로 직관하는 마음이에요.


📌 숭산스님의 설명 방식

숭산 스님은 이렇게 자주 말씀하셨죠.

“당신이 태어나기 전, 어떤 것이 당신의 참 나입니까?”

“이 질문에 답할 수 없다면, ‘모른다’라고 하세요.”

이 ‘모른다’라는 건 포기의 뜻이 아니라, 모든 분별과 생각을 내려놓고, 순수하게 지금 이 자리로 돌아오라는 거예요.
생각으로 이해하고 계산하면 늘 옳고 그름, 좋고 나쁨, 이익과 손해로 갈려버리는데 —
‘Don’t Know Mind’는 그 이전의 근원 자리로 돌아가자는 가르침입니다.


📌 선(禪) 수행에서의 Don’t Know Mind

선불교는 본래 직지인심 견성성불(直指人心 見性成佛),
즉 마음을 곧바로 들여다보고 본래성을 깨닫는 수행이죠.
이때 가장 강력한 방법이 ‘모른다’고 선언하는 거예요.

모르면 생각이 끊기고, 생각이 끊기면 지금 이 순간의 본래 자리가 드러납니다.
숭산 스님이 “only go straight, don’t know!”
즉, **“오직 모를 뿐, 곧장 가라”**라고 하신 것도 이 때문이에요.


📌 일상의 적용

숭산 스님은 이걸 수행자만의 방법이 아니라, 일상의 태도로 보셨어요.

  • 일이 꼬였을 때
  • 사람 관계가 어려울 때
  • 내 생각, 남의 생각, 상황이 복잡할 때

“모른다”라고 말하고, 순간순간 맑은 마음으로 다시 시작하라는 것.

판단하려는 마음이 없는 순간, 진짜 상황의 진실과 명확한 직관이 드러나기 때문입니다.


📌 핵심 요약

구분설명
개념모른다는 마음 상태. 모든 분별과 판단을 내려놓음.
목적본래 마음 자리(空性, 자성)로 돌아가기
수행 방법“모른다”라고 선언하고, 생각이 일어나는 것을 그냥 지켜보며 멈추기
일상 적용복잡한 생각이나 감정의 소용돌이 속에서 “모른다” 하고, 지금 이 순간으로 돌아오기
효과마음의 투명성, 직관력 회복, 본래의 지혜와 자비 발현

📌 숭산스님 어록

“Good situation, bad situation — don’t hold. Only go straight — don’t know!”
“좋은 상황, 나쁜 상황, 붙잡지 마라. 오직 곧장 가라 — ‘모른다’로!”

Similar Posts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